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로 유방암이 진단된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유방암이 왜 생겼을까요. 유방학 교과서에서 제시된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확실한 위험인자, 가능성 있는 위험인자, 아직은 근거가 부족한 위험인자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위험인자 없이 건강하게 생활하셨던 분들도 유방암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 100% 암 예방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몇 가지만 말씀드릴께요.
1.확실한 위험요인 ( 대부분의 연구가 일치하는 소견)
1) 호르몬제 복용
피임약이나 폐경 후 호르몬제 복용은 확실하게 알려진 유방암 위험인자입니다. 여러 연구에 의해서 호르몬제 복용하는 여성들은 복용하지 않는 여성들에 비해 적게는 1.2배 많게는 2배이상 증가를 보였습니다. 장기간 복용할수록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피임약이나 폐경 후 호르몬제 복용을 계획하신다면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유방초음파 검진이 꼭 필요하겠지요.
2) 음주
알코올 섭취는 유방암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 발생률도 높아집니다.
3) 생식적 요인
많이 알려져 있다시피 초경연령이 빠를수록, 폐경 연령이 늦을수록 호르몬 노출 기간이 길어져서 유방암 발생률이 올라갑니다. 첫 만삭분만 연령이 높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모유수유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발생률이 감소합니다.
4) 운동이나 육체적 활동은 유방암을 예방합니다.
5) 비만은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킵니다.
2.가능성 있는 위험요인( 일부 연구에서 증명)
1) 흡연
흡연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2) 식이지방
식이지방 섭취가 많을수록 유방암 위험이 증가됩니다.
3) 식이섬유소를 많이 먹는 경우 유방암 발생위험이 감소됩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야채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연구부족( 데이터 부족, 아직 연구중)
1) 비타민 섭취가 유방암을 예방한다는 이론은 아직까지는 연구중입니다.
2) 합성화학물질
합성화학물질 중 다수가 약한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성분입니다. 아직까지는 연구가 부족하지만 유방암이 여성호르몬 노출과 연관되어 있는 만큼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콩섭취
콩종류에 있는 피토에스트로겐이라는 물질이 에스트로겐 농도를 낮추어 유방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아직까지는 확실하게 밝혀진 인자가 몇 개 안되기 때문에 위험인자가 없더라도 유방암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는 40세이상에서는 정기적인 유방검진이 꼭 필요합니다. 유방과 관련된 증상이 있을 때는 유방외과에 꼭 방문하셔야 하구요. 유방암은 1기에 진단될 경우 완치율이 95% 입니다. 그만큼 빨리 발견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영미유외과의원 (mybreast.co.kr)온라인 예약 바로가기
이영미유외과의원
여의사, 대치역, 외과전문의, 유방암검사, 맘모톰, 유방초음파, 갑상선초음파
www.mybreast.co.kr
정상 지방조직처럼 보이는 유방암 (0) | 2023.05.20 |
---|---|
크기가 작아도 만져졌던 초기 유방암 (0) | 2023.05.19 |
장기간 호르몬제 복용중 발견된 초기 유방암 (0) | 2023.05.13 |
70 세 진행된 유방암 (0) | 2023.05.11 |
유선염으로 오인되었던 유방암 (0) | 2022.06.28 |
유방암 가족력 있어서 검진중 우연히 발견된 유방암 (0) | 2020.08.04 |
유방촬영에서 더 잘 보였던 상피내암 (0) | 2020.08.03 |
34세 유방암 (0) | 2020.07.31 |
댓글 영역